셀주크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주크 제국은 11세기부터 12세기까지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를 지배한 투르크계 왕조이다. 10세기 말 하자르 제국의 붕괴 이후 세력을 확장하여, 1040년 단다나칸 전투에서 가즈나 왕조를 격파하고 호라산 지역을 장악했다. 투으룰 베그는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압바스 칼리프에게 이슬람 세계의 지도자로 책봉되었으며, 알프 아르슬란 시대에는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비잔틴 제국을 격파하여 아나톨리아를 점령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다. 말리크샤 1세 치세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그의 사후 권력 다툼과 십자군의 침입으로 쇠퇴하였다. 셀주크 제국은 페르시아 문화를 수용하여 건축, 문학, 예술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었으며, 수니파 이슬람을 장려하고 마드라사를 설립하여 종교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셀주크 제국 - 셀주크 왕조
셀주크 왕조는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이란과 터키 등지에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던 튀르크계 왕조로, 투그릴 베그가 1038년에 건국하여 이슬람 세계의 패권을 장악하고 아나톨리아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으나, 1243년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멸망했다. - 셀주크 제국 - 아르투크 왕조
아르투크 왕조는 11세기 말 아르투크 베이가 건국한 투르크멘 계통의 왕조로, 그의 후손들이 알자지라 지역에서 여러 분파로 나뉘어 할거하며 십자군 전쟁에도 참여했으나, 여러 세력에 밀려 쇠퇴하여 15세기 초 멸망했지만 건축, 문학, 예술 등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디야르바크르 성벽, 말라바디 다리 등의 유산을 남겼다.
셀주크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셀주크 제국 |
정부 형태 | 칼리파의 봉신 (법률상) 독립 술탄국 (사실상) |
지위 | 제국 |
건국 | 1037년 |
멸망 | 1194년 |
건국 사건 | 투그릴 아래에서 형성 |
주요 사건 1 | 단다나칸 전투 |
주요 사건 1 날짜 | 1040년 |
주요 사건 2 | 만지케르트 전투 |
주요 사건 2 날짜 | 1071년 |
주요 사건 3 | 제1차 십자군 |
주요 사건 3 날짜 | 1095–1099년 |
주요 사건 4 | 카트완 전투 |
주요 사건 4 날짜 | 1141년 |
멸망 사건 | 호라즘 제국에 의해 대체 |
수도 | 니샤푸르 (1037–1043년) 레이 (1043–1051년) 이스파한 (1051–1118년) 메르브 (1118–1153년, 동부) 하마단 (1118–1194년, 서부) |
통치자 칭호 | 칼리파 |
통치자 1 | 알카임 |
통치자 1 통치 기간 | 1031–1075년 |
통치자 2 | 알나시르 |
통치자 2 통치 기간 | 1180–1225년 |
부통치자 칭호 | 술탄 |
부통치자 1 | 투그릴 (초대) |
부통치자 1 통치 기간 | 1037–1063년 |
부통치자 2 | 투그릴 3세 (마지막) |
부통치자 2 통치 기간 | 1174–1194년 |
면적 측정 시기 | 1080년경 |
면적 | 3,900,000 km² |
공용어 | 페르시아어 (공식어, 링구아 프랑카, 궁정, 학문, 문학) 오구즈 튀르크어 (왕조 및 군사) 아랍어 (신학, 법률, 과학) |
종교 | 수니파 이슬람교 (하나피파) |
이전 국가 | |
이전 국가 1 | 오구즈 야브구국 |
이전 국가 2 | 가즈나 왕조 |
이전 국가 3 | 부와이 왕조 |
이전 국가 4 | 비잔티움 제국 |
이전 국가 5 | 카쿠이 왕조 |
이전 국가 6 | 파티마 칼리파조 |
이전 국가 7 | 카라한 칸국 |
이전 국가 8 | 마르완 왕조 |
이전 국가 9 | 라와드 왕조 |
후계 국가 | |
후계 국가 1 | 룸 술탄국 |
후계 국가 2 | 아나톨리아 베이리크 |
후계 국가 3 | 고르 왕조 |
후계 국가 4 | 호라즘 제국 |
후계 국가 5 | 아제르바이잔 아타베그 |
후계 국가 6 | 살구르 왕조 |
후계 국가 7 | 바반드 왕조 |
후계 국가 8 | 아이유브 왕조 |
후계 국가 9 | 부리 왕조 |
후계 국가 10 | 장기 왕조 |
후계 국가 11 | 다니슈멘드 왕조 |
후계 국가 12 | 아르투크 왕조 |
후계 국가 13 | 샤아르멘 왕조 |
후계 국가 14 | 샤다드 왕조 |
후계 국가 15 | 케르만 셀주크 술탄국 |
후계 국가 16 | 키프로스 왕국 |
2. 역사
10세기 말, 하자르 제국이 붕괴하자 셀주크는 지금의 카자흐스탄 잔드로 이동했다. 이 지역에서 셀주크와 그 추종자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중앙아시아를 지배하던 사만 왕조의 용병으로 활동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사만 왕조 멸망 후에는 카라한 왕조와 가즈나 왕조 사이에서 독립적인 세력을 쟁취하고자 투쟁했다.[136][137]
1040년 단다나칸 전투에서 투으룰과 차으르 형제가 이끄는 셀주크 군대는 가즈나 왕조 군대를 격파하고 후라산 지역을 장악했다.[138] 이후 투으룰은 서쪽의 이란과 이라크를, 차으르는 메르브를 중심으로 영토를 분할 통치했다. 1055년 투으룰은 바그다드를 점령, 압바스조 칼리프로부터 이슬람 세계의 지도자로 책봉되었다.[139]
투으룰 사후, 알프 아르슬란(재위: 1063년 ~ 1092년)과 그의 아들 말리크샤 1세(재위: 1073년 ~ 1092년) 치세 동안 셀주크 제국은 전성기를 맞이했다.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비잔틴 제국에 승리하고, 팔레스타인을 정복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다.[141]
말리크샤 1세 사후, 제국은 분열되어 내전을 겪었다.[143][144] 십자군 침입과 니자리 이스마일파 발호 등으로 혼란이 가중되었다. 무함마드 타파르가 혼란을 수습하고 제국을 재통합했지만, 그의 사후 아흐마드 산자르가 대술탄 지위를 계승했다.
산자르는 카트완 전투 (1141년)에서 카라 키타이에게 패배하고, 1153년 오구즈 투르크족에게 사로잡히는 등 시련을 겪었다.[30] 산자르 사후 제국은 더욱 분열되었고, 1194년 호라즘 왕조에 패배하며 멸망했다.
2. 1. 초기 역사
10세기 말, 하자르 제국이 붕괴하자 그 휘하에 있었던 셀주크는 지금의 카자흐스탄에 있는 잔드로 이동했다. 이 지역에서 셀주크와 그 추종자들은 이슬람을 처음 접하고, 당시 중앙아시아를 지배하던 사만 왕조의 용병으로 활동하며 점차 세력을 확장한다. 사만 왕조가 멸망한 이후에는 카라한 왕조와 가즈나 왕조 사이를 오가며 독립된 세력을 쟁취하고자 투쟁하기 시작했다.[136][137]이에 카라한 왕조는 부하라 인근에서 유목하던 셀주크인들을 추방하였고, 이때 셀주크 가문을 이끌던 셀주크의 손자, 투으룰과 차으르 형제는 남쪽으로 도피, 카라쿰 사막을 지나 후라산으로 진입하였다. 후라산은 가즈나 왕국의 핵심 영토로, 당시 이슬람 세계에서 문화적 · 경제적으로 가장 발전한 지역에 속했다. 투으룰과 차으르 형제는 가볍게 무장하여 뛰어난 기동성을 가진 기마 유목민 집단의 장점을 한껏 살려 사막을 오가며 가즈나 군대를 패퇴시켰다. 또한 가즈나 정부의 실정에 지친 후라산 지역의 엘리트 계층은 셀주크인들을 환영했다. 1040년, 후라산 지역을 탈환하려는 가즈나 왕국 최후의 원정군은 단다나칸에서 차으리가 이끄는 셀주크 군대에게 패배하며(단다나칸 전투), 후라산 지역 전체가 셀주크 가문의 손에 떨어졌다.[138]
이 왕조의 창시자는 오구즈 튀르크족의 키니크 부족(Qiniq tribe)에 속한 셀주크(Seljuk)라는 군벌이었다. 그는 자신의 부족을 시르다리야 강 연안, 젠드 도시 근처로 이끌고 985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 마문 왕조가 통치하던 호라산은 사마니드 제국의 명목상 지배 아래 있었다. 999년까지 사마니드 제국은 트란스옥시아나에서 카라칸 왕국에 멸망하였고, 가즈나 왕조는 아무다리야 강 남쪽 땅을 점령하였다. 셀주크는 독립적인 기반을 확립하기 전에 카라칸 왕국에 대항하여 마지막 사마니드 에미르를 지원하였다.
셀주크족의 최초 조상은 일반적으로 950년에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잔드 근처 호라즘으로 이주한 하자르 군에 복무했던 베그였다.[110]
셀주크족은 카라한 왕조에 대항하여 페르시아인의 사마니드 왕조의 샤와 연합했다. 그러나 가즈나 왕조가 흥륭하자 마웨라안나흐르(992년-999년)의 카라하니드에 투항했다. 셀주크족은 자신의 독립 기반을 구축하기 전에 이러한 권력 구조에 관여하게 되었다.
2. 2. 셀주크 제국의 발전
단다나칸 전투 이후 후라산을 장악한 투으룰과 차그리 형제는 영토를 나누었다. 차그리는 메르브를 중심으로 확보한 영토를 담당했고, 투그릴은 서쪽의 이란과 이라크를 지배하기로 했다. 이러한 동서 분할은 돌궐 제국이나 카라한 왕조에서도 나타나는 풍습이었다. 투으룰은 정복을 지속하여 처음에는 베이(아미르)를 자칭하다가 나중에는 술탄이 되었다. 1055년, 투으룰은 바그다드를 점령하여 압바스조 칼리프로부터 전 이슬람 세계의 지도자로 책봉되었다. 1063년 투으룰이 사망했을 때 그의 영토는 지금의 이란과 이라크 전체를 포괄했다.[139]투으룰의 급격한 부상은 그의 군사적 재능과 이슬람 세계의 정치적 분열 덕분이었다. 투으룰이 이슬람 세계로 진입했을 때, 이란과 이라크 대부분에서 종주권을 누리던 이란계 부이조는 여러 분가로 나누어져 서로 적대적이었다. 투으룰은 이들을 멸망시키기보다는 지위를 보장하고 관료를 파견하여 세금을 받는 수준에서 만족했다. 따라서 셀주크 정복은 상대적으로 평화로운 과정이었다. 바그다드 점령도 칼리프 재상의 초대로 이루어졌다. 압바스 조정은 시아파 부이조보다 순니파이며 칼리프를 선지자 무함마드의 대리인으로 인정하는 셀주크 제국을 더 나은 상대로 여겼다. 반면 튀르크멘 추종자들은 투으룰의 이러한 변화를 달갑지 않게 여겼다. 투으룰은 튀르크멘의 도시 약탈을 제약하고 도시 접근을 차단하려 했다. 투으룰이 소아시아나 캅카스 방면의 기독교 국가들에 대한 원정을 실시한 이유는 유목민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함이었다.[140]
투으룰이 자식 없이 사망하자, 제국은 차으리의 아들 알프 아르슬란(재위: 1063년 ~ 1092년)과 그의 아들 말리크샤 1세(재위: 1073년 ~ 1092년)의 통제 아래로 들어갔다. 두 술탄의 치세는 셀주크 제국의 전성기로 여겨진다. 알프 아르슬란은 대부분의 시간을 원정으로 보냈으며, 그 결과 셀주크 제국의 영토는 중앙아시아, 시리아, 소아시아를 포함하게 되었다.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알프 아르슬란은 비잔틴 황제 로마노스 디오예니스를 사로잡는 승리를 거두었다. 제국의 확장은 말리크샤의 치세에도 이어져 팔레스타인을 정복하고 중앙아시아의 카라한 왕국을 속국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 정복은 투으룰과 차으르 형제의 튀르크멘 유목민 군대와 달리, 알프 아르슬란과 말리크샤의 군대는 노예 병사를 중심으로 했다는 차이가 있었다.[141]
말리크샤 치세의 또 다른 특징은 니잠 알물크의 영향력이었다. 니잠 알물크는 자신의 후라산 출신 동맹과 자식들을 제국 각지의 관료로 임명하였다. 이란 서부와 아랍의 신민들은 셀주크 제국을 후라산적으로 보았고, 후라산 출신 엘리트들에 대해 불평했다. 말리크샤는 니잠 알물크를 신뢰하여 행정, 종교, 군사 업무를 맡겼다. 당대인들은 그를 ‘셀주크 왕국의 창건자’로 여겼으며, 한 연대기에서는 “일인지하 만인지상이 아니라 단지 만인지상”이라고까지 기록했다.[142]
2. 3. 제국의 붕괴
말리크샤 1세 사후, 그의 형제들과 네 아들들이 제국을 분할하기 위해 다투면서 제국은 분열되었다.[143][144] 니잠 알물크의 권력이 강했던 것은 술탄의 권력이 약했음을 의미했다. 말리크샤는 치세 후반 니잠 알물크와 갈등을 빚었지만,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했다. 이 문제는 후계자들의 시대에 더욱 심각해졌다. 말리크샤 사후, 관료와 귀족들은 권력을 잡기 위해 그의 아들들을 조정하여 내전을 벌였다. (1092년 ~ 1104년) 이론적으로 셀주크 가문의 누구나 군주가 될 수 있었고, 군주 생전에 정해놓은 후계자가 인정받는 일은 드물었다. 그 결과, 관료와 귀족들은 더 조정하기 쉬운 사람을 새 군주로 세우기 위해 어리고 경험 없는 왕자를 확보하려 다투었다. 십자군이 셀주크 제국을 덮친 것이 이때였는데, 사실 십자군의 목표는 셀주크 제국의 중심지와 멀었기 때문에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143][144]
결국 혼란 속에서 셀주크 제국의 통치자로 떠오른 것은 술탄 무함마드 타파르(재위: 1105년 ~ 1118년)였다. 그러나 무함마드 타파르 역시 십자군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의 종교적인 적은 시아파를 추종하는 니자리 이스마일파였다. 이들은 내전을 틈타 이란의 몇몇 전략적 요충지를 장악했는데, 특히 악명높은 것은 앨부르즈 산맥의 알라무트 성채였다. 무함마드는 이들을 제압하는 데 실패했고, 이 시아 이슬람 일파는 셀주크 제국보다 더 오래 살아남았다.[145]
무함마드 타파르는 제국 서부에 있던 마지막 셀주크 제국의 통치자였다. 그의 사후 대술탄의 지위는 동생 아흐마드 산자르(재위: 1118년 ~ 1157년)에게 이어졌다. 산자르의 영지는 후라산에 있었다. 산자르의 재위는 셀주크 제국의 두 번째 전성기로 여겨진다. 산자르는 메르브에 수도를 두고 문예와 학문의 중심지로 조성했다. 그러나 1130년대 들어서 제국 내 · 외부에서 문제가 터지기 시작했다. 우선 만주에서 온 카라 키타이가 서진하여 셀주크 제국의 속국인 카라한 왕조를 공격했고, 산자르는 이를 지원하였으나 카트완 전투에서 참패했다. (1141년) 카라키타이가 중앙아시아에 정착하자, 산자르의 제국 내부에서 균열이 발생했다. 화레즘의 통치자 아트시즈가 카라키타이와 협조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발흐 인근의 튀르크멘인들도 1151년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카라키타이에 의해 쫓겨난 처지였는데, 산자르의 관료가 무거운 세금까지 매기자 들고 일어난 것이다. 이듬해에 반란군은 산자르의 군대를 격파하고 메르브를 점령하여 산자르의 제국을 파괴했다.[146][147]
1118년, 셋째 아들 아흐마드 산자르가 제국을 장악했다. 그의 조카이자 무함마드 1세의 아들 마흐무드 2세는 자신을 술탄으로 선포하고 바그다드에 수도를 세웠지만, 1131년에 아흐마드 산자르에 의해 공식적으로 폐위되었다.
산자르는 트란스옥시아나의 카라칸 왕조, 아프가니스탄의 구리드 왕조, 키르기스스탄의 카를룩의 반란을 진압하고, 동쪽에서 침입해 온 서요에 맞서 싸웠다. 서요는 먼저 동부 카라칸 왕조를 패퇴시킨 후, 셀주크의 봉신이었던 후잔드의 서부 카라칸 왕조를 분쇄했다. 카라칸 왕조는 셀주크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산자르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서요에 맞섰다. 그러나 산자르의 군대는 1141년 9월 9일 카트완 전투에서 야율대석의 군대에게 결정적으로 패배했다. 산자르는 목숨을 건져 도망쳤지만, 그의 아내를 포함한 많은 친척들이 포로로 잡혔다. 산자르가 동쪽에서 침략해 오는 위협을 처리하는 데 실패한 결과, 셀주크 제국은 시르다리야 강까지 모든 동부 지역을 잃었고, 서부 카라칸 왕조의 봉신 관계는 서요에게 빼앗겼다.[30]
1153년, 오구즈 투르크족이 반란을 일으켜 산자르를 사로잡았다. 그는 3년 후 탈출했지만 1년 후 사망했다. 아흐마드 산자르가 1157년에 죽자 제국은 더욱 분열되었다.

짧은 기간 동안 토그룰 3세는 아나톨리아를 제외한 모든 셀주크 영토의 술탄이었다. 그러나 1194년 호라즘 왕조 샤 알라 알딘 테키시에게 패배하면서 셀주크 제국은 최종적으로 붕괴되었다. 이전 제국 중 아나톨리아의 룸 술탄국만이 남았다.
3. 정치
셀주크 군주들은 자신들의 국가를 '''승리하는 국가'''(al-dawla al-qahiraar)라고 불렀다. 투으룰은 이라크, 아제르바이잔 등을 지배한다고 주장했고, 그의 형제 차으르는 후라산 등을 통치한다고 주장했다. 알프 아르슬란은 스스로의 영역을 후라산, 이라크, 아제르바이잔, 시리아, 화레즘, 조지아로 정의했다. 말리크샤 1세는 이라크, 파르스, 시리아, 아제르바이잔, 화레즘, 후라산, 조지아, 트란스옥시아나를 통치한다고 선전했다.[150]
셀주크인들은 자신들이 세계를 지배하도록 선택된 종족이라고 믿었다. 마흐무드 알카슈가리는 《튀르크어 사전(ديوان لغات الترك|디완 루가트 알투르크|l2=faar)》 서문에 “나는 신께서 제국의 태양을 튀르크족의 집 위에서 떠오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보았다.”라고 적었다.[151]
튀르크 엘리트층은 ‘지배 종족’이라는 자부심을 가졌지만, 관료들은 페르시아 문화를 사용했다. 재상 니잠 알물크는 《정치의 서(書)》를 통해 셀주크 제국이 사만조나 가즈나 왕조와 같은 이란이슬람적 제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51][152]
그러나 니잠 알물크의 생각과 달리 셀주크 제국 제도에는 튀르크적 요소도 다수 도입되었다. 투그라에는 유목 세계에서 권위를 상징하는 활과 화살이 새겨졌고, 이 도안은 동전이나 여러 문서에서도 활용되었다. 아타베그는 왕자의 보호자를 의미하는 튀르크어 직위였다. 셀주크 제국의 정치 제도는 덜 이란적이고 더 튀르크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153]
말리크샤 1세 사후 제국은 분열되었다.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룸 술탄국에서 권력을 주장했다. 페르시아에서는 마흐무드 1세가 술탄으로 선포되었지만, 이라크의 세 형제 바르키야룩, 바그다드의 무함마드 1세, 호라산의 아흐마드 산자르가 반발했다. 투투시 1세도 왕위를 주장했지만, 바르키야룩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그의 아들들은 알레포와 다마스쿠스를 상속받아 서로 다투었다.
1118년 아흐마드 산자르가 제국을 장악했다. 그의 조카 마흐무드 2세는 술탄을 선포했지만, 1131년 아흐마드 산자르에 의해 폐위되었다. 아르투크 왕조, 다니슈멘드 왕조 등도 셀주크 영토 곳곳에 있었다.
셀주크 제국은 1040년부터 1157년까지 이슬람 중앙아시아와 중동을 지배했다. 제국은 서부와 동부로 나뉘었고, 동부는 마르브가, 서부는 레이, 이스파한, 바그다드, 하마단 등이 수도 역할을 했다. 서부는 이라크 술탄국으로 불렸고, 1118년 이후 산자르의 종주권을 인정하며 '소셀주크'로 불렸다.
3. 1. 중앙 행정
말리크샤의 치세에 셀주크 제국은 수도의 존재라는 또 다른 진화를 경험했다. 투으룰과 알프 아르슬란은 대부분의 시간을 원정으로 보내며 공식적인 수도를 두지 않았다. 그러나 말리크샤는 좀 더 정주화된 행정을 위해 이스파한을 수도로 삼고 치세의 절반가량을 그곳에서 지냈다.[154]
셀주크의 세력은 말리크샤 1세 시대에 정점에 달했으며, 카라칸 왕조와 가즈나 왕조는 모두 셀주크의 지배를 인정해야 했다.[34] 셀주크의 지배는 고대 사산 제국의 영토인 이란과 이라크에 확립되었으며, 아나톨리아, 시리아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의 일부와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을 포함했다.[34] 그들의 통치는 투르크와 몽골 유목 문화에서 일반적인 부족 조직을 본떠 '가족 연합' 또는 '분봉령 국가'와 유사했다.[34] 이러한 조직 하에서 최고 가문의 수장은 가족 구성원에게 그의 영토의 일부를 자치적인 분봉령으로 할당했다.[34]
3. 2. 지방 행정
셀주크 제국은 술탄 직할령과 간접 통치령으로 나뉘었다. 직할령은 술탄 야영지 인근의 도시와 농경지였다. 간접 통치령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155]구분 | 내용 |
---|---|
지방 왕조 | 투그룰 이전부터 존재, 셀주크 종주권 인정. 카스피 해 남쪽 산악 지대와 이라크 지역.[155] |
이크타 토지 | 말리크샤와 니잠 알물크가 지방 왕조의 땅을 튀르크 아미르에게 부여.[155] |
부족령 | 상당한 자치권 보유. 구르간, 아제르바이잔, 후지스탄, 이라크 남부.[155] |
4. 군사
셀주크 제국의 초기 군사적 성공은 튀르크멘 유목민의 궁기병 부대에 기반했다. 토그릴 베그가 바그다드에 입성할 당시 군대는 약 1만 명, 단다나칸 전투에서는 약 16,000명 규모였다. 이들은 경무장 궁기병의 장점을 활용하여 가즈나 왕조 군대를 격파했다.[158] 각 부족은 수령이 지휘했으며, 병사들은 유목 생활로 단련되었고 전투와 약탈을 통해 복무 대가를 얻었다. 부족 수령이나 지휘관은 계급에 따라 임금을 받았다.[159]
그러나 튀르크멘 부족은 초원과 약탈에만 관심이 있었고 중앙 정부의 간섭을 싫어했기에, 셀주크 통치자들은 이들에게 전적으로 의존할 수 없었다. 중앙 정부는 상업과 농업 세금이 중요했고 정치, 경제적 안정을 원했기 때문이다. 튀르크멘들은 점차 셀주크 제국 중심지를 떠나 아제르바이잔, 캅카스 남부, 소아시아 동부 초원으로 이주했다.[160]
셀주크 정부는 튀르크멘 군단을 대체하기 위해 이슬람 세계의 전통적인 노예 병단을 활용했다. 이 군대는 10,000~15,000명 규모였다. 니잠 알물크는 튀르크멘 외 다양한 종족 부족 활용을 주장했고, 셀주크 제국 군대는 튀르크멘 부족민, 튀르크계 굴람 기병대, 페르시아계 징집 보병대를 주축으로 했다. 쿠르드, 아랍 부족, 소수나파 힌두, 그리스계도 보조병으로 활용되었다.[161]
군대 유지는 디와니 아르드(l2=fa|دیوان العرض|Dīwān al-ʿarḍar) 또는 디와니 알자이슈(l2=fa|دیوان الجيش|dīwān al-jayshar)가 맡았고, 수장은 사히브 알아르드(l2=fa|صاحب العرض|Ṣāḥib al-ʿarḍar) 또는 사히브 알자이슈(l2=fa|صاحب الجيش|Ṣāḥib al-jayshar)였다. 튀르크 장교층 최고사령관은 하지브(ḥājibfa) 또는 이스파흐살라르(اسپهسالار|ispāhsalārfa)였다. 디와니 아르드의 가장 중요한 업무는 이크타 관리였다.[162]
초기 셀주크 군대는 계획된 군사 정복보다는 가족과 가축을 동반한 대규모 유목민 이동에 가까웠다. 그들은 전문적인 군대가 아니었지만, 전쟁은 거의 모든 성인 남성 튀르크멘에게 삶의 방식이었다.[50]
니잠 알물크에 따르면, 말리크 샤 1세 시대에는 군주가 많은 군대를 보유했다. 투르크멘, 맘루크, 상비군, 보병, 술탄 친위대가 있었다. 니잠 알물크는 말리크 샤의 병력을 40만 명으로 추산하기도 했다. 그는 셀주크 왕조가 투르크멘에게 빚지고 있음을 인정했다. 셀주크 국가 건설 후에도 투르크멘들은 아나톨리아에서 셀주크 팽창의 원동력이었다. 그러나 말리크샤 1세 통치 이후, 특히 지발 지역에서 투르크멘에 대한 언급은 매우 적다.[51]
투르크멘들은 통제하기 어려웠고 약탈에 취약했다. 가장 큰 문제는 가축에 대한 목초지 의존성이었다. 셀주크 국가를 구성했던 많은 지역들은 유목민 군대를 지원하기에 생태적으로 부적합했다. 투르크멘의 한계는 아랍 학자 시브트 이븐 알 자우지가 묘사하고 있다.[52]
장기 원정은 투르크멘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려는 고집 때문에 중단되었고, 정복은 투르크멘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계획되어야 했다. 투르크멘들의 단기적인 필요 때문에 장기적인 군사 계획은 달성할 수 없었다.[53] 유목민 투르크멘 군대의 대안은 맘루크였다. 맘루크들은 유목 생활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목초지에 대한 의존성이 없었다. 맘루크들은 후기 압바스 칼리파 왕조, 사마니드 왕조, 가즈나 왕조의 군대를 구성했다.
5. 문화
셀주크 제국의 문화는 이전의 사마니드 왕조와 가즈나 왕조에서 유래한 페르시아-이슬람 전통을 따랐다.[36] [37] [38] 이 전통은 이슬람 이전 이란의 왕권 사상을 이슬람적 틀에 맞춰 형성한 것이었다. 셀주크족은 투그라와 같은 투르크적 요소보다는 페르시아-이슬람 전통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35]
셀주크족은 문화적, 언어적으로 페르시아화되어 투르크-페르시아 전통[39]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페르시아 문화를 아나톨리아로 전파하기도 했다.[40] 셀주크 시대에는 니잠 알 물크의 『시아사트나마』와 같이 왕을 위한 거울 장르의 페르시아어 정치 서적이 저술되었다.[16]
셀주크 술탄들은 대부분의 주화에 사산 왕조의 칭호인 "샤한샤"(만왕의 왕)를 사용했으며, 부이드 왕조의 옛 칭호인 "이슬람의 샤한샤"도 사용했다.[42] 말리크 칭호는 셀주크 가문의 하급 왕자들이 사용했다. 셀주크는 정교한 페르시아 관료제에 의존했다.[42]
12세기 시인 니자미 아루지에 따르면 모든 셀주크 술탄들은 시를 좋아했으며, 이는 그들의 후원 아래 쓰인 방대한 페르시아어 시집에서도 알 수 있다. 마지막 셀주크 술탄 투그릴 3세는 그의 페르시아 시로 유명했다. 자히르 알딘 니샤푸리의 『살주크나마』는 투그릴 3세에게 헌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셀주크 가문이 페르시아어로 의사소통을 하고 그들의 조상들의 업적을 페르시아어로 배웠음을 시사한다.
투그릴은 그의 비자르에게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투르크어로 번역하게 했고, 투그릴과 칼리파의 딸의 결혼식에서는 오구즈 노래가 불렸다. 마흐무드와 같은 후대의 술탄들은 페르시아어와 함께 아랍어를 구사할 수 있었지만, 서로 간에는 여전히 투르크어를 사용했다. 투르크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증거는 바그다드에서 칼리파 알-무크타디를 위해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가 편찬한 방대한 투르크어-아랍어 사전 혹은 디완 루가트 알 투르크이다. 그러나 디완 외에는 셀주크 제국에서 투르크어로 쓰인 작품은 전해지지 않는다. 『말리크나마』는 투르크어 구전 전통에서 편찬되었지만 페르시아어와 아랍어로 쓰였다.
스텝 유목민의 전통은 셀주크의 결혼에 영향을 미쳤는데, 투그릴은 그의 형제 차그리의 미망인과 결혼했는데, 이는 이슬람에서 멸시받는 관습이었다. 셀주크의 의식은 압바스 칼리파의 모델을 기반으로 했지만, 때로는 고대 이란 의식이 행해지기도 했다. 1091년 어느 밤, 말리크 샤 1세의 명령에 따라 바그다드 전체가 촛불로 밝혀졌는데, 이는 조로아스터교의 사다크(sadhak) 의식과 유사했다.
셀주크 시대에는 다양한 예술 형태가 유행했으며, 상당한 양의 유물이 이를 증명한다.[62] 대부분의 셀주크 예술품은 오늘날 이란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63] 셀주크 술탄들은 여러 도시의 재식민화와 재건 과정의 일환으로 아나톨리아에 예술가들이 정착하도록 장려하기도 했다.[64] 셀주크 예술 작품의 상당수는 12세기 후반 제국의 쇠퇴 이후에도 계속 제작되었다.[63] 대셀주크 시대에 속한다고 정확하게 연대를 추정하고 귀속시킬 수 있는 예술 작품은 비교적 적다. 세계 박물관에 있는 셀주크 것으로 간주되는 자료의 상당 부분은 대셀주크 제국 몰락 이후인 1150년에서 1250년 사이의 시대에 속하며, 이 시기에 예술 제작이 급증했는데, 이는 궁정의 후원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64]
셀주크 왕조 시대에는 건축 장식으로 흔히 사용되는 다색 도자기 타일 제작이 다른 도자기 제작과 함께 유행했다.[66][67] 셀주크인들은 미나이(Mina'i) 기법, 즉 도자기에 유약 위에 채색하고 에나멜을 입히는 다색 기법을 개척했다.[67] 셀주크 도자기의 유약은 밝은 청록색에서 매우 진한 파란색까지 다양했다.[66] 셀주크 모자이크 타일 장식 예술은 셀주크 지배 이후에도 많은 아나톨리아 모스크의 내부를 지배적으로 장식했다.[66] 셀주크인들은 또한 도자기 주택 모형을 만들었으며, 셀주크 시대의 다른 도자기 형태로는 도자기 인형, 그중 일부는 어린이 장난감이 있었다.[68]
12세기 중반부터 동부 이슬람 세계(대략 이란과 중앙아시아)에서 제작된 예술 금속 공예품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 1140년대 이후의 유물이 이전 시기보다 더 많이 남아 있다.[84] 초기 주요 생산지는 니샤푸르(Nishapur), 헤라트(Herat), 가즈나(Ghazni)를 포함한 호라산(Khorasan)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84] 이러한 유물의 후원에 대해서는 학계의 논쟁이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호라산의 부르주아 계급의 성장으로 인해 이러한 고가의 장인 기술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 것이 생산 증가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상인 소유주 이름을 명시한 비문으로 부분적으로 증명되지만, 대부분의 기존 유물은 비문에 따라 술탄, 왕실 구성원 또는 국가 관리들에게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84] 13세기 초, 이러한 금속 공예 예술과 후원의 확장은 이란의 금속 세공인들의 이주로 인해 자극받은 셀주크 제국의 계승자들(젠기드 왕조, 아르투크 왕조, 아나톨리아 셀주크 왕조) 치하 레반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서쪽으로 더욱 확대되었다.
청동이나 놋쇠로 만들어진 물건들은 구리와 은을 상감할 수도 있었다. 이 기술은 이전 세기에는 유행이 지났지만, 이 기간 동안 호라산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는 부흥을 겪었다.[84] 생산된 형태에는 홈이 있는 주전자와 후드가 있는 향로와 같은 전통적인 호라산식 유형과 둥근 끝이 있는 펜 상자와 드럼 모양의 몸체를 가진 촛대와 같은 새로운 형태가 포함된다.[84] 많은 금속 용기도 동물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정교한 작품은 두들겨 올리고, 두들겨 내리는 방법으로 만들어졌으며, 장식은 돋을새김과 새김질로 제작되었다. 일부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금속판을 조심스럽게 납땜하여 장식용 프리스 아래에 숨기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음매를 보이지 않도록 했다.[84] 장식 모티브에는 아라베스크, 이슬람 기하학적 패턴, 실제 동물과 신화 속 동물, 음악가와 기수와 같은 인물 장면까지 포함된다.[84] 거의 모든 금속 공예품에는 아랍어 비문이 있다. 이 시대의 혁신으로, 거의 금속 공예에만 국한된 것은 아랍어 필체를 그림 형태로 만드는 것이다. 이것의 가장 초기 예는 소위 보브린스키 양동이(Bobrinski Bucket)에서 찾을 수 있다.[84]
셀주크인들에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의복 스타일은 ''악비야 투르키야'' 혹은 긴 로브 또는 장식된 카프탄으로, “튀르키예식”으로 재단되어 있으며, 앞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비스듬히 여미는 형태이다.[94] 무늬가 있는 직물과 함께 윗소매에는 ''티라즈'' 띠를 사용했다. 의복에는 키가 큰 부츠와 다양한 ''샤르부시'' 형태의 모자가 포함되었으며, 종종 모피 안감이 있었다.[95] 이러한 스타일은 13세기에 좀 더 작은 튀르크계 후계 국가들, 예를 들어 젠기드 왕조 또는 아르투크 왕조에서도 계속되었으며, 특히 사본에서 더 많은 삽화들을 볼 수 있다.[95]
반면에 부유한 정착 페르시아 인구는 앞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여미는 다른 로브 스타일을 채택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악비야 타타리야'' 또는 "타타르식"이라고 불리지만 사산 왕조 말기의 페르시아 카프탄의 특징이기도 하다.[94][95] 직물은 사산 왕조 시대 또는 소그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스타일을 지닌 "사산 왕조 르네상스"라고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96] 셀주크 직물은 종종 자연의 표현, 최소한의 장식적 세부 사항, 그리고 다채로운 린넨의 조합으로 인해 직물에 서로 바뀌는 색상 효과를 부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물과 식물과 같은 많은 사실적인 자연 요소들이 아라베스크 요소로 구성된 패턴을 형성하며 직물 구성을 특징짓는다.[96]
당시의 많은 사본에서 셀주크 스타일의 권력과 권위 있는 인물들의 의복과 긴 로브, 터번을 입고 맨발 또는 샌들을 신은 아랍식 또는 현지 스타일의 인물들의 의복을 구별하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97][98]
5. 1. 건축
셀주크 시대에는 이슬람 세계의 건축 유형과 설계 구조에 혁신이 일어났다. 수도 이스파한에 세워진 셀주크 제국 최고의 모스크에는 중요한 두 가지 변화가 대표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변화는 두 개의 돔을 추가로 건설한 것이다. 그중 하나는 1072년에서 1075년 사이 미흐라브 전면에, 다른 하나는 1088년에 모스크 북쪽에 세워졌다. 돔의 기능은 분명하지 않지만, 두 번째로 추가된 돔은 왕족의 예배실이나 담소를 나누는 방으로 쓰인 것 같다. 두 번째는 1121년과 1122년 사이에 일어난 변화로, 본래 존재하던 두 개의 안뜰을 다시 나눈 것이다. 이와 같이 이완(ایوان|l2=fa|tr|eyvanar)이 네 개인 설계 방식은 공간에서 새로운 교차 축을 건설하는 방식을 창출했다.[163]
셀주크 지배 시대 동안 사원과 마드라사가 건설되고 장식되었다. 집회 사원들은 수리되거나 재건되었거나 전체적으로 새로 건설되었다. 셀주크 술탄은 또한 정통 이슬람 과학 교육을 증진하기 위해 수많은 마드라사를 건립했다.[63] 이러한 건축 방식의 발전은 셀주크 왕조의 이슬람 중시와 무슬림 정통성의 증진, 수피즘과 수니즘의 결합과 일맥상통한다.[63][62]
전반적으로 셀주크 시대에 속하는 건축은 정교한 장식이 특징이다.[56] 장식은 주로 정교한 벽돌 공사와 다채로운 유약 타일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57]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혁신은 이스파한 금요 사원의 개조에서 처음으로 볼 수 있듯이 사원의 형태로 나타났다.[58] 그중 하나는 4이완 계획의 도입이었다. 이것은 이전 건물에서도 확인되었지만, 셀주크 시대에는 이란과 중앙아시아의 사원, 마드라사, 카라반사라이의 공통적인 특징이 되었고, 결국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의 건축에도 영향을 미쳤다.[58] 또 다른 중요한 혁신은 ''미흐랍''(또는 ''마크수라'') 앞 공간 위에 기념비적인 돔을 만든 것이었는데, 이것은 이 지역과 그 너머의 후대 사원의 특징이 되었다.[58]

셀주크 시대에 번성한 또 다른 건축 형식은 3차원 기하학적 장식의 한 형태인 무카르나스이다.[60] 일부 해석에 따르면 가장 오래된 무카르나스의 예는 셀주크의 패권 시대에 건설되었지만, 동시에 북아프리카에서도 개발되었을 가능성도 있다.[60] 무카르나스에서 여러 개의 장식된 셀을 서로 다른 윤곽으로 겹치면 내부가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이는 돔이 만들어진다.[60] 표면에 비치는 빛의 놀이는 이러한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킨다.[60] 미술사가 올레그 그라바르는 무카르나스 돔의 효과가 쿠란의 물 상징성을 구현한다고 주장한다.[60] 무카르나스의 예는 셀주크 제국 시대에 건설된 사원의 벽감에서도 볼 수 있다.[61]


5. 2. 문학
가즈나 왕조의 예를 따라, 사만 왕조나 가즈나 왕조처럼 셀주크인들은 이란인들을 재상 등의 관료로 임명하여, 행정 분야에서 페르시아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페르시아어는 아랍어와 함께 문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다. 셀주크 제국은 중앙집권화된 제국이 아니었기 때문에, 하마단, 이스파한, 마르브, 니샤푸르 외에도 다양한 셀주크 방계 가문들이 다스렸던 도시들이 문학 중심지로 기능했다. 작가들은 후원자를 찾아 여러 도시들을 돌아다녔다.[164]
셀주크 시대에는 세속적이든 비세속적이든 사본들이 제작되었다.[80][77] 시간이 지나면서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 현재는 구하기 어렵지만,[71] 수 세기에 걸쳐 전해 내려온 사본들은 셀주크의 서적 예술 참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71] 서예가와 미니어처 화가들이 사본 제작을 담당했지만, 때로는 서예가가 서예와 삽화를 모두 능숙하게 다루기도 했다.[72] 10세기 말이 되자, 미니어처 화가와 서예가 모두 서적 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색상, 스타일, 필기 기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72]
셀주크 통치 시대에 제작된 꾸란은 서예의 발전과 성스러운 경전의 분할 방식 변화를 보여준다.[72] 특히 이 시대의 서예가들은 꾸란의 한 페이지에 쿠피체와 신체 등 여러 서체를 자주 결합했다.[72] 이슬람 세계에서 양피지를 대체하는 종이의 인기 증가와 맞물려,[73] 내구성 있는 종이의 사용은 소형 단권 꾸란의 생산량을 증가시켰다.[74] 양피지 코덱스에는 종종 여러 권의 꾸란 경전이 들어 있었다.[74]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양피지는 일부 꾸란 제작에 인기가 있었고, 여러 권으로 구성된 책도 계속 제작되었다.[73][72] 셀주크 시대에 제작된 꾸란은 꾸준히 장식된 테두리로 구분되었고, 구조 측면에서도 상대적인 일관성을 유지했다.[74]

셀주크 통치 시대에 제작된 사본의 예로는 약 1050년에 제작된 30권(Juz')의 꾸란이 있다. 이는 한 명의 서예가이자 미니어처 화가가 제작했다(프리어 미술관, 워싱턴 D.C., F2001.16a-b).[72] 종이가 이슬람 세계에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작품은 초기 이슬람 종이 사본이다.[73] 이 꾸란은 분홍색으로 염색된 갈색 가죽으로 제본되어 있으며 금으로 장식되어 있고, 정교한 삽화가 들어 있다.[72]
셀주크 통치 말기에 제작된 또 다른 종교 사본의 예로는 "카르마티안 꾸란"(분산된 책장, 아서 M. 스택러 미술관, 워싱턴 D.C., S1986.65a-b)이 있다.[72] 이 사본의 책장은 금색 테두리와 가는 나선형 삽화로 장식되어 있으며, 식물 모티프가 특징이다.[72]

셀주크 시대의 사본 제작은 종교 텍스트에 국한되지 않았다. 과학, 문학, 역사 관련 작품들이 제작되었다.[56] 세속적 사본의 한 예로는 1200년 이마드 알딘이 쓴 셀주크 시대의 역사적, 문학적 기록인 ''Nusrat al-fatrah''가 있다(알-푸르칸 이슬람 유산 재단, 런던).[79] 셀주크 시대에 제작된 과학 사본은 종종 지리학, 물리학, 역학, 수학, 천문학과 관련이 있었다.[56] 셀주크의 옛 도시인 이스파한은 총 12,000권의 책을 소장한 12개의 도서관뿐만 아니라 학자들이 천문학적 발견을 기록할 수 있는 천문대도 자랑했다.[56][80] 셀주크 제국의 세속적 사본에는 종종 행성의 배열과 황도대와 관련된 삽화가 들어 있다.[74]

역사가 앤드류 피콕은 아나톨리아의 셀주크인들이 오컬트 주제에 집중하고 그것이 서적 예술에 나타나는 것에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80] 셀주크인들이 특히 관심을 가진 오컬트 과학에는 점술, 점성술, 연금술이 포함되었다. 13세기 셀주크의 영향력이 있던 후기의 관련 오컬트 사본으로는 "점성술사의 규칙"으로 알려진 ''Dustur al-Munajjimin''이 있고, 또 다른 것은 1272년 룸 술탄국 시대의 ''Daqa'iq al-Haqa'iq'' 즉 "영원한 진리의 미묘한 점"이다.[80]
6. 종교
985년, 셀주크족은 젠드 도시로 이주하여 이슬람으로 개종했다.[25] 페르시아로 이주한 셀주크 투르크족은 마드라사를 건설하여 수니파 이슬람을 후원했고, 수니파 이슬람은 지배적인 종파가 되었다. 술탄 산자르 사망까지 셀주크족은 경건한 수니파였으며, 10세기 이후 이라크와 페르시아 서부에서 수니파 이슬람의 재건을 나타냈다.[54]
1046년, 투그릴은 니샤푸르에 알-술타니야 마드라사를 건설했고, 차그리 베그는 메르브에 마드라사를 설립했다. 투그릴과 알프 아르슬란은 이러한 마드라사에 하나피파 카디와 설교자를 선택했다. 1063년까지 페르시아와 호라산 전역에 셀주크 왕자들이 세운 25개의 마드라사가 흩어져 있었다.[147] 12세기에는 바그다드에 30개가 넘는 마드라사가 있었다.[25]
1056년, 투그릴은 바그다드에 새로 건설된 구역과 함께 금요 사원을 건설했는데, 이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80] 빈번한 폭력 사태 때문에 새로운 구역은 시아파 공동체와 수니파 공동체를 분리했다.[80] 투그릴의 베지르인 하나피 수니파 알-쿤두리의 영향으로, 아슈아리파와 이스마일파 시아파는 호라산에서 추방되었고 셀주크 사원의 금요 설교에서 저주를 받았다. 알-쿤두리는 아슈아리파와 샤리피파를 박해했지만, 니잠 알물크의 베지르 시대에 끝났다.[101] 알-쿤두리의 베지르 시대에 이슬람 학자 알 주와이니는 메카와 메디나로 도피해야 했다.[101] 1065년, 알프 아르슬란은 조지아 왕국에 대해 원정을 벌여 트빌리시를 정복하고 도시에 사원을 건설했다.[65]
1092년, 말리크 샤는 바그다드에 자미 알-술탄 사원을 건설했다. 수도인 이스파한에서 말리크 샤는 디즈쿠 근처에 마드라사, 성채, 성을 건설했다.[85] 말리크 샤 사후, 가족 간의 내전으로 종교 후원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어 마드라사와 사원 건설이 느려졌다.[36] 그러나 1130년, 셀주크 술탄 산자르는 사마르칸트에 쿠타미야 마드라사 건설을 명령했다.[37]
셀주크 술탄들은 종교 건물을 많이 건설했지만, 셀주크 베지르들도 마찬가지였다. 셀주크 베지르 니잠 알물크는 1063년 바그다드에 니자미야라는 최초의 마드라사를 설립했다.[147] 그는 자신이 건설한 마드라사에서 샤피이파를 후원했다. 베지르 타즈 알 물크와 말리크 샤의 미망인 테르켄 카툰은 니잠의 니자미야와 경쟁하기 위해 마드라사 건설을 후원했다.[67]
6. 1. 울라마의 부상
부이 왕조 시대에 학자들은 그리스와 로마의 철학과 문학을 연구함으로써 좀 더 개방적인 생각을 가졌다. 이들의 학문 태도는 완고한 사고를 지닌 무슬림들에게 이교도적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니잠 알물크는 《정치의 서》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시아파 사람들이 주장하는 정치적 주장의 위험성에 대해 다루었다. 알가잘리 역시 이스마일파의 주장에 반박하는 논문을 적었다.[165]한편, 니잠 알물크는 같은 책에서 사회를 잘 통제하기 위해서는 울라마 계층에게 어떤 역할도 부여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셀주크 술탄들은 정치적 권력 대신 그들을 단순히 후원하였다. 울라마는 그 대가로 술탄의 정권에 정당성을 부여해주었다. 1067년 니잠 알물크는 처음으로 바그다드에 마드라사를 건립했다. 마드라사는 순니파 교리 전도와 교육에 많은 기여를 했다. 대체로 마드라사는 정통 종교를 바탕으로 편협한 정규 교과 과정만을 고집하는 경향을 띠었다. 이러한 교육은 순니파 울라마들에게 전문적인 활동 영역을 마련해주는 한편, 시아파 교리에 맞서 싸우는 교육이라는 목적에도 효과적이었다. 11세기 이래로 마드라사가 확산되고 교수와 암송가, 사서가들이 터번을 두른 성직자 대열에 합류함으로써 이슬람 성직자의 수가 크게 늘었다. 셀주크 제국과 그 뒤를 이은 국가들에서는 《코란》과 이슬람법의 전문가들인 울라마의 위상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166]
6. 2. 하나피파 법학의 발전
셀주크 제국은 마 와라 알 나흐르에서부터 하나피파를 후원하였다. 그리하여 셀주크 시대에 하나피파는 다른 학파에 대한 우위를 굳히게 되었다. 12세기 부르한 알딘 알마르기나니는 하나피파의 법 규정을 집대성하여 《알히다야》를 저술하였다. 이 책은 후일 하나피파의 가장 중요한 문헌으로 여겨졌다.[167]7. 역대 군주
가즈나 왕조로부터 대셀주크 제국을 쟁취한 투그릴 베그는 셀주크의 손자이자 차그리 베그의 동생이었다. 초기에는 셀주크족이 마흐무드에게 패퇴하여 호라즘으로 후퇴했지만, 투그릴 베그와 차그리 베그는 메르브와 니샤푸르 함락을 이끌었다(1037년).[111] 이후 발흐를 통해 후계자와 반복적으로 공격하며 영토를 교환했고, 1037년에는 가즈니를 약탈하기까지 했다.[112] 1040년 단다나칸 전투에서 서쪽 영토 대부분을 포기하면서도 마수드 1세를 결정적으로 격파했다. 1048년부터 1049년에 걸쳐 투그릴 베그의 이복형제 이브라힘 이날이 지휘하는 셀주크 투르크는 이베리아의 동로마 제국 최전방 지역에 최초로 침입하여, 1048년 9월 10일 카페트론 전투에서 5만 명의 동로마 제국-조지아 연합군과 충돌했다. 아랍의 편년사가 이븐 아시르는 이브라힘이 포로 10만 명과 낙타 1만 마리에 실은 막대한 약탈품을 가지고 돌아왔다고 보고하고 있다.[113] 1055년, 투그릴 베그는 압바스 칼리파로부터 위임을 받아 시아파 부이족으로부터 바그다드를 탈환했다.
차그리 베그의 아들 알프 아르슬란은 1064년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를 병합하여 아나톨리아 반도 거의 전역을 장악하고, 1068년에는 동로마 제국을 침공함으로써 투그릴의 영토를 확장했다.[114]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알프 아르슬란의 결정적인 승리는 사실상 동로마 제국의 아나톨리아 반도 방어를 무력화시켰다.[115] 조지아는 이베리아 테마를 방어함으로써 알프 아르슬란의 침공으로부터 탈환할 수 있었지만,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동로마 제국이 철수함으로써 조지아는 셀주크족과 더욱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었다. 1073년, 간자, 드빈, 도미니시의 셀주크 아미르들은 카르스 요새를 점령했고, 조지아를 침공하여 패배시켰다.[116] 셀주크 아미르 아흐마드의 보복 공격은 크베리스츠케에서 조지아를 패배시켰다.[117]
알프 아르슬란은 아타베그들에게 이전 동로마 제국의 아나톨리아 반도 땅을 터키 장군들에게 분할할 권한을 부여했다. 2년 이내에 터키인들은 수많은 베그릭(현재 터키의 베일릭) 아래에서 에게 해까지 지배를 확장했다.
알프 아르슬란의 후계자 말리크 샤와 니잠 알 물크 등의 지휘 아래 셀주크 제국은 여러 방면으로 확장하여 동쪽으로는 중국과 서쪽으로는 동로마 제국과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 말리크 샤는 수도를 샤흐레 레이에서 이스파한으로 옮겼고, 이 시대는 대셀주크 제국의 전성기였다.[119] 이크타 군사 조직과 바그다드의 알니자미야 대학교가 니잠 알 물크에 의해 설립되었고, 압바스 칼리파는 1087년에 그를 "동서의 술탄"이라고 칭했다. 하산 사바의 암살교단은 이 시대에 결집하기 시작하여, 그의 지휘 아래 많은 지도자들을 암살하였고, 많은 자료에 따르면 그 희생자 중에 니잠 알 물크가 있었다.
1076년, 말리크 샤는 조지아를 침공하여 많은 거주지를 파괴했다. 1079년부터 1080년에 걸쳐 조지아는 매년 조공을 바치며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말리크 샤에게 복종해야 했다.
말리크 샤 사후 셀주크 제국은 분열되었고, 제1차 십자군 원정이 일어났다. 이후 아흐마드 산자르가 잠시 제국을 통일했으나, 다시 분열되었다. 아이유브 왕조의 살라흐 앗딘이 시리아를 점령하고, 호라즘 왕조가 성장했으며, 룸 셀주크 왕조만이 아나톨리아에 남았다. 결국 오스만 제국이 건국되었다.
# | 칭호 | 즉위명 | 통치 기간 | 혼인 | 계승권 |
---|---|---|---|---|---|
1 | 라쿤 아두냐 와 아디딘 | 투그릴 베그 | 1037년–1063년 | * Altun Jan Khatuntr | 미카일의 아들 (셀주크의 손자) |
2 | 디야 아두냐 와 아디딘 아두드 아다울라 | 알프 아르슬란 | 1063년–1072년 | * Aka Khatuntr (투그릴 베그의 미망인) | 차그리 베그의 아들 |
3 | 무이즈 아두냐 와 아디딘 자랄 아다울라 | 말리크 샤 | 1072년–1092년 | * Terken Khatuntr (뵈리티긴의 딸) | 알프 아르슬란의 아들 |
4 | 나시르 아두냐 와 아디딘 | 마흐무드 1세 | 1092년–1094년 | 말리크 샤의 아들 | |
5 | 라쿤 아두냐 와 아디딘 | 바르키야룩 | 1094년–1105년 | 말리크 샤의 아들 | |
6 | 라쿤 아두냐 와 아디딘 자랄 아다울라 | 말리크 샤 2세 | 1105년 | 바르키야룩의 아들 | |
7 | 기야트 아두냐 와 아디딘 | 무함마드 타파르 | 1105년–1118년 | * Nisandar Jihan Khatuntr | 말리크 샤의 아들 |
8 | 무기트 아두냐 와 아디딘 자랄 아다울라 | 마흐무드 2세 | 1118년–1131년 | * Mah-i Mulk Khatuntr (아흐마드 산자르의 딸) | 무함마드 타파르의 아들 |
9 | 무이즈 아두냐 와 아디딘 아두드 아다울라 | 아흐마드 산자르 | 1118년–1153년 | * Turkan Khatuntr (무함마드 아르슬란 칸의 딸) | 말리크 샤의 아들 |
10 | 고리아트 아두냐 와 아디딘 | 다우드 | 1131년–1132년 | Gouhar Khatuntr (마수드의 딸) | 마흐무드 2세의 아들 |
11 | 라쿤 아두냐 와 아디딘 | 투그릴 2세 | 1132년–1135년 | * Mumine Khatuntr | 무함마드 타파르의 아들 |
12 | 기야트 아두냐 와 아디딘 | 마수드 | 1135년–1152년 | * Gouhar Nasab Khatuntr (아흐마드 산자르의 딸) | 무함마드 타파르의 아들 |
13 | 무인 아두냐 와 아디딘 | 말리크샤 3세 | 1152년–1153년 | 마흐무드 2세의 아들 | |
14 | 라쿤 아두냐 와 아디딘 | 무함마드 2세 | 1153년–1159년 | * Mahd Rafi Khatuntr (키르만샤의 딸) | 마흐무드 2세의 아들 |
15 | 기야트 아두냐 와 아디딘 | 술레이만샤 | 1159년–1160년 | * Khwarazmi Khatuntr (무함마드 호라즘샤의 딸) | 무함마드 타파르의 아들 |
16 | 무이즈 아두냐 와 아디딘 | 아르슬란샤 | 1160년–1176년 | * Kerman Khatuntr (무크타피의 딸, 무함마드 2세의 미망인) | 투그릴 2세의 아들 |
17 | 라쿤 아두냐 와 아디딘 | 투그릴 3세 | 1176년–1191년 (1차 통치) | Inanj Khatuntr (이나치 송굴의 딸, 투그릴 3세의 미망인) | 아르슬란샤의 아들 |
18 | 무자파르 아두냐 와 아디딘 | 키질 아르슬란 | 1191년 | Inanj Khatuntr (이나치 송굴의 딸, 무함마드 이븐 일데니즈의 미망인) | 일데니즈의 아들 (아르슬란샤의 의형제) |
— | 라쿤 아두냐 와 아디딘 | 투그릴 3세 | 1192년–1194년 (2차 통치) | 아르슬란샤의 아들 | |
7. 1. 가계
이름 | 관계 | 비고 |
---|---|---|
셀주크 | 셀주크 제국의 시조 | |
아르슬란 이스라일 | 셀주크의 아들 | |
미카일 | 셀주크의 아들 | |
무사 | 셀주크의 아들 | |
유누스 | 셀주크의 아들 | |
만수르 | 쿠탈므슈의 아들 | |
쿠탈므슈 | 아르슬란 이스라일의 아들 | |
차그리 베그 | 미카일의 아들 | |
투그를 베그 | 미카일의 아들 | 1038년~1063년 통치 |
이브라힘 이날 | 미카일의 아들 | |
술레이만 | 쿠탈므슈의 아들 | |
카부르트 | 차그리 베그의 아들 | |
알프 아르슬란 | 차그리 베그의 아들 | 1063년~1072년 통치 |
술라이만 | 차그리 베그의 아들 | |
우스만 | 차그리 베그의 아들 | |
바흐람 샤 | 차그리 베그의 아들 | |
룸 셀주크 | 술레이만의 아들 | |
키르만 셀주크 | 카부르트의 아들 | |
말리크 샤 | 알프 아르슬란의 아들 | 1072년~1092년 통치 |
테키슈 | 알프 아르슬란의 아들 | |
투투슈 | 알프 아르슬란의 아들 | |
바르크야루크 | 말리크 샤의 아들 | 1092년~1105년 통치 |
무함마드 타파르 | 말리크 샤의 아들 | 1105년~1118년 통치 |
아흐마드 산자르 | 말리크 샤의 아들 | 1118년~1157년 통치 |
마흐무드 | 말리크 샤의 아들 | 1092년~1094년 통치 |
시리아 셀주크 | 투투슈의 아들 | |
말리크샤 2세 | 바르크야루크의 아들 | 1105년 통치 |
이라크 셀주크 | 무함마드 타파르의 아들 |
8. 평가 및 영향
셀주크 왕조는 아랍인과 페르시아인이 지배하던 이슬람 문명에 부흥, 활력, 그리고 통합을 가져왔다. 셀주크인들은 대학을 설립했고 예술과 문학의 후원자이기도 했다. 셀주크 제국의 통치는 페르시아의 천문학자 오마르 카이얌(Omar Khayyám)과 페르시아 철학자 알가잘리(al-Ghazali)와 같은 인물들로 특징지어진다. 셀주크 시대에 페르시아어는 역사 기록의 언어가 되었고, 아랍어 문화의 중심지는 바그다드에서 카이로로 이동했다.[99]
참조
[1]
논문
Some Observations on the 'Abbāsid Caliphate of Cairo
University of London
[2]
서적
The Times atla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Hammond Incorporated
1989
[3]
논문
East-West Orientation of Historical Empires
http://jwsr.pitt.edu[...]
2016-09-13
[4]
논문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http://www.escholars[...]
1997-09-00
[5]
서적
Introduction to Islamic Civilis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Banking on Baghdad: Inside Iraq's 7,000-year History of War, Profit and Conflict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7]
간행물
Turkish Expansion towards the west
UNESCO Publishing / Routledge
[8]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Elsevier Ltd.
[9]
참고자료
[10]
참고자료
[11]
참고자료
[12]
서적
Eurasian Studies, VII
Martin-Luther Universität, Halle-Wittemberg
2008
[13]
서적
Routledge Revivals: Trade, Travel and Exploration in the Middle Ages (2000):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2017
[14]
뉴스
Diplomacy gone to seed: a history of Byzantine foreign relations, A.D. 1047–57
http://findarticles.[...]
[15]
웹사이트
Dhu'l Qa'da 463/ August 1071 The Battle of Malazkirt (Manzikert)
http://www.princeton[...]
2007-09-08
[16]
서적
Battle of Partskhisi
Rowman & Littlefield
[17]
서적
Georgian-Saljuk Wars (11th–13th Centuries)
ABC-CLIO
[18]
백과사전
Sanjar, Aḥmad b. Malekšāh
http://www.iranicaon[...]
[19]
서적
Der Priester Johannes
https://books.google[...]
S. Hirzel
[20]
서적
History of Chinese Society: Liao, 907–1125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서적
Encyclopaedia Iranica, Ghurids
https://www.iranicao[...]
[23]
서적
The Political and Dynastic History of the Iranian World (A.D. 1000–1217)
Camb. Hist. Iran V
[24]
서적
The History of the Mongol Conques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5]
웹사이트
The Desolation of Merv
https://thediplomat.[...]
[26]
서적
3000 Years of Urban Growth
[27]
웹사이트
Crusades – Siege, Jerusalem, 1099
https://www.britanni[...]
2023-09-07
[28]
웹사이트
'Miraculous Victory:' Battle of Didgori, 1121
http://www.armchairg[...]
Armchair General
2012-10-20
[29]
서적
Nomads in the Sedentary World
https://books.google[...]
2012-10-20
[30]
서적
The Empire of the Qara Khitai in Eur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Standing Warrior Holding a Sword
https://art.thewalte[...]
The Walters Art Museum
[32]
서적
Arab painting
https://archive.org/[...]
New York : Rizzoli
1977
[3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5: The Saljuq and Mongol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8
[34]
서적
Al Hind the Making of the Indo Islamic World
Brill Academic Publishers
[35]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36]
서적
Šahrbānu
http://www.iranicaon[...]
Routledge
2005
[36]
서적
Central Asia and the World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1994-05
[36]
서적
Europe 1450 to 1789: Encyclopedia of the Early Modern World
Charles Scribner's Sons
2004
[37]
서적
Turkmen Expansion towards the west
UNESCO Publishing / Routledge
[37]
서적
Early Mystics in Turkish Literature
Routledge
2006
[37]
서적
Shahjahanabad: The Sovereign City in Mughal India, 1639–173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38]
서적
Šahrbānu
http://www.iranicaon[...]
[38]
웹사이트
Persian Manuscripts in Ottoman and Modern Turkish Libraries
http://www.iranica.c[...]
2012-01-22
[38]
간행물
The Seljuq court at Konya and the Persianisation of Anatolian Cities
2005
[38]
서적
Sectarian and National Movements in Iran, Khorasan, and Trasoxania during Umayyad and Early Abbasid Times
UNESCO Publishing,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39]
서적
Central Asia and the World: Kazakhstan, Uzbekistan, Tajikistan, Kyrgyzstan, Turkemenistan and the World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39]
서적
The Event of Our Era: Former Soviet Muslim Republics Change the Middle East
[40]
서적
History of Asia, Vol.1
Allyn and Bacon
1964
[41]
웹사이트
Head from a Figure with a Beaded Headdress
https://www.metmuseu[...]
[4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Otto Harrasowitz
1992
[42]
간행물
The Historical Role of Turkish in Relation to Persian of Iran
2001
[42]
백과사전
Arran
[42]
서적
[43]
웹사이트
Panel of al-Khatun (the lady) Fatima bint Zahir al-Din
https://www.metmuseu[...]
[44]
서적
Franks and Saracens: Reality and Fantasy in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4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unnis and Shi'is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18
[46]
서적
Islamic Art (Volume 20 of World of art)
https://www.islamicm[...]
Thames and Hudson
1965
[47]
간행물
Musul ve Halep Valisi İmâdeddin Zengi'nin Haçlılarla Mücadelesi
https://iupress.ista[...]
2020-06-30
[48]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49]
간행물
The Large Audience: Life-Sized Stucco Figures of Royal Princes from the Seljuq Period
2014
[50]
서적
Early Seljūq History: A New Interpretation
2010
[51]
서적
Nomadic Military Power: Iran and Adjacent Areas in the Islamic Period
Wiesbaden
2015
[52]
서적
Mir'āt al-Zamān fī Ta'rīkh al-A' yan: al-Óawādith al-khā' a bi-ta'rīkh al-Salājiqa bayna al-sanawāt 1056–1086
1968
[53]
서적
Continuity and Change in Medieval Persia: Aspects of Administrative, Economic and Social History
Bibliotheca Persica
1988
[54]
서적
2016
[55]
서적
2012
[56]
서적
Lost Enlightenment: Central Asia's Golden Age from the Arab Conquest to Tamerlan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57]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58]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2007
[59]
서적
Islam: Art and Architecture
h.f.ullmann
2011
[60]
웹사이트
Muqarnas
https://www.oxfordar[...]
2023-01-01
[61]
서적
Turkish Art and Architecture: From the Seljuks to the Ottomans
Abbeville Press Publishers
2010
[62]
백과사전
Saljuq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63]
웹사이트
Saljuq family
https://www.oxfordar[...]
2023-01-01
[64]
간행물
The Anatolian Seljuk City: An Analysis of Early Turkish Urban Models in Anatolia
https://www.research[...]
2010-01
[65]
웹사이트
Bowl, LACMA Collections
https://collections.[...]
[66]
간행물
Turkish Ceramic Art
1971-06
[67]
서적
Materials, Techniques, and Kilns Used in the Production of Seljuk and Beylik Period Glazed Tiles
Kale Group Cultural Publications
2008
[68]
간행물
Ceramic House Models from Medieval Persia: Domestic Architecture and Concealed Activities
2008
[69]
웹사이트
Large Luster Bowl
https://www.artic.ed[...]
1186-1196
[70]
웹사이트
Bowl with Enthroned Figure and Horsemen
https://www.metmuseu[...]
[71]
서적
The Relationship Between Book Painting and Luxury Ceramics in 13th-Century Iran
Mazda Publishers
[72]
서적
The Art of the Qur'an: Treasures from the Museum of Turkish and Islamic Arts
Smithsonian Books
[73]
학술지
The Arabic Script
[74]
서적
Manuscript Illumination: A Source for Metalwork Motifs in Saljuq Times
University of Edinburgh press
[75]
서적
Chinese Lexicography: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8-08-14
[76]
서적
Franks and Saracens: Reality and Fantasy in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5-08
[77]
학술지
A Signed and Dated Seljuq Qur'an
1935
[78]
뉴스
The Calligrapher's Art
link.gale.com/apps/d[...]
2021-05-03
[79]
학술지
Nusrat al-fatrah wa-usrat al-fitrah [The History of the Seljuks]
2021
[80]
서적
A Seljuq Occult Manuscript and its World
Edinburgh University Press
[81]
학술지
Socializing Medicine: Illustrations of the Kitāb al-diryāq
https://www.jstor.or[...]
2001
[82]
학술지
Orality, Writing and the Image in the Maqamat : Arabic Illustrated Books in Context
2012-02
[83]
서적
The Glory of Byzantium: Art and Culture of the Middle Byzantine Era, A.D. 843–1261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97
[84]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85]
웹사이트
Incense Burner of Amir Saif al-Dunya wa'l-Din ibn Muhammad al-Mawardi
https://www.metmuseu[...]
2024-01-05
[86]
서적
Masterpieces from the Department of Islamic Art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1
[87]
웹사이트
Roundel
https://www.metmuseu[...]
[88]
웹사이트
Court and Cosmos: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 MetPublications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89]
웹사이트
Necklace
https://www.metmuseu[...]
[90]
웹사이트
Court and Cosmos: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 MetPublications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91]
웹사이트
Cauldron
https://www.hermitag[...]
2023-01-04
[92]
웹사이트
Candlestick
https://asia.si.edu/[...]
2024-01-05
[93]
웹사이트
Clothing
https://referencewor[...]
Brill
2020-08-30
[94]
서적
Paradoxically, however, while the style commonly attributed to the Seljuqs is that of the left-buttoning aqbiya turkiyya, or “Turkish” cut, and although this is the prevailing style of robe in illustrations from contemporary manuscripts, there is perhaps only a single complete robe attributed to the Seljuq period that closes (...) Taken within the context of adab, however, it becomes possible that the adoption of the “Tatar-style” coat was a conscious decision on the part of the affluent sedentary Persian population, as it was less identifiable with the Seljuq Turks. These associations would have been increasingly acute toward the end of the Seljuq period, as a result of the Khwarazm Shah invasions and perhaps exacerbated by the westward migrations of nomadic groups at the start of the Mongol invasion.
[95]
웹사이트
Clothing viii. In Persia from the Arab conquest to the Mongol invasion
https://iranicaonlin[...]
Encyclopaedia Iranica
[96]
학술지
Seljuk Fabrics
[97]
학술지
The Maqamat of al-Hariri. Two Illustrated Mamluk Manuscripts at the British Library MS Or.9718 and Ms.Add.22114.pdf (MA Thesis, SOAS)
https://www.academia[...]
[98]
학술지
A Turk in the Dukhang? Comparative Perspectives on Elite Dress in Medieval Ladakh and the Caucasus
https://www.academia[...]
Austrian Academy of Science Press
[99]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10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ume IA): The Central Islamic Lands from Pre-Islamic Times to the First Wor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서적
Possessors and possessed: museums, archaeology, and the visualization of history in the late Ottoman Empire
http://www.iranica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2]
학술지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vt. Ltd)
[103]
서적
Shahjahanabad: The Sovereign City in Mughal India, 1639–173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4]
웹사이트
Sectarian and National Movements in Iran, Khorasan, and Trasoxania during Umayyad and Early Abbasid Times
http://www.britannic[...]
UNESCO Publishing,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105]
서적
Europe 1450 to 1789: Encyclopedia of the Early Modern World
http://www.iranicaon[...]
Charles Scribner's Sons
[106]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Rutgers University Press
1991
[107]
서적
History of Asia
Allyn and Bacon
1964
[108]
웹사이트
The Event of Our Era: Former Soviet Muslim Republics Change the Middle East
[109]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Otto Harrasowitz
1992
[109]
저널
The Historical Role of Turkish in Relation to Persian of Iran
2001
[109]
백과사전
Arran
[109]
서적
Iranian influence on Caucasian languages
[110]
서적
Al Hind the Making of the Indo Islamic World
Brill Academic Publishers
1996
[111]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Brill
2002
[112]
백과사전
Ira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113]
저널
Diplomacy gone to seed: a history of Byzantine foreign relations, A.D. 1047-57
http://findarticles.[...]
2005
[114]
서적
Court and Cosmos: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04-27
[115]
웹사이트
Dhu'l Qa'da 463/ August 1071 The Battle of Malazkirt (Manzikert)
http://www.princeton[...]
2007-09-08
[116]
백과사전
Battle of Partskhisi
Rowman & Littlefield
2015
[117]
백과사전
Georgian-Saljuk Wars (11th-13th Centuries)
ABC-CLIO
2011
[118]
백과사전
Nizam al-Mulk
http://www.britannic[...]
[119]
서적
"The Kings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Seljuk Dynastic Concept and Titles in the Muslim and Christian sources
I.B. Tauris
2015
[120]
서적
Al Hind the Making of the Indo Islamic World
Brill Academic Publishers
1996
[121]
웹사이트
'Miraculous Victory:' Battle of Didgori, 1121
http://www.armchairg[...]
2012-10-20
[122]
서적
Nomads in the Sedentary World
https://books.google[...]
2012-10-20
[123]
서적
The Empire of the Qara Khitai in Eur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24]
서적
The Venture of Islam: Conscience and History in a World Civiliz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4
[125]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126]
백과사전
Atabakan-e Adarbayjan
http://www.iranica.c[...]
[127]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BRILL
1987
[128]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Brill
2002
[129]
서적
Introduction to Islamic civilis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130]
서적
Banking on Baghdad: inside Iraq's 7,000-year history of war, profit and conflict
John Wiley and sons
2004
[131]
서적
Turkish Expansion towards the west
UNESCO Publishing / Routledge
[132]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Elsevier Ltd.
2009
[133]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34]
웹사이트
Selçuklular
https://islamansiklo[...]
Türkiye Diyanet Vakfı
2009
[135]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36]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37]
웹사이트
Arslan b. Selçuk
https://islamansiklo[...]
Türkiye Diyanet Vakfı
1991
[138]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39]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40]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41]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42]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43]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44]
서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이슬람사
시공사
2002
[145]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46]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47]
웹인용
Sanjar, Aḥmad b. Malekšāh
http://www.iranicaon[...]
2012-01-25
[148]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49]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50]
저널
‘The King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Seljuk Dynastic Consept and Titles in the Muslim and Christian Sources
I.B.Tauris
2013
[151]
서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이슬람사
시공사
2002
[152]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53]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54]
저널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
[155]
서적
Medieval Persia, 1040-1797
Routledge
2015
[156]
서적
Medieval Persia, 1040-1797
Routledge
2015
[157]
서적
Medieval Persia, 1040-1797
Routledge
2015
[158]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 3: The Eastern Islamic World Eleventh to Eighteenth Centu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59]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 3: The Eastern Islamic World Eleventh to Eighteenth Centu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60]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 3: The Eastern Islamic World Eleventh to Eighteenth Centu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61]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 3: The Eastern Islamic World Eleventh to Eighteenth Centu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62]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 3: The Eastern Islamic World Eleventh to Eighteenth Centu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63]
서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이슬람사
시공사
2002
[164]
웹인용
Saljuqids v. Saljuqid literature
http://www.iranicaon[...]
2010-01-29
[165]
서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이슬람사
시공사
2002
[166]
서적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이슬람사
시공사
2002
[167]
서적
중앙유라시아의 역사
소나무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